일상정보 & 리뷰

사카린(Saccharin)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제이수 2025. 6. 21. 14:29

저탄수 다이어트 열풍으로 무가당, 무설탕, 제로 슈가 제품들이 유행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더불어 새롭게 평가받는 물질들도 있는데요

오늘은 사카린(Saccharin)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평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사용 현황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 사카린(Saccharin) : 150년을 넘나든 인공 감미료의 명암

1. 사카린이란?

사카린(Saccharin, 화학식: C₇H₅NO₃S)은 1879년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화학자 콘스탄틴 팔베르그(Constantin Fahlberg)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 세계 최초의 인공 감미료입니다. 설탕보다 300~500배 더 단맛을 가지며, 칼로리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얀 결정 형태로, 열과 산에 안정해 가열 조리에도 감미력이 유지됩니다.

> ✔️ 단맛: 설탕의 약 300배
✔️ 칼로리: 0kcal
✔️ 형태: 백색 결정성 분말
✔️ 가격: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




2. 사카린의 역사와 과거 평가

🔬 1) 20세기 초반: 기적의 감미료

사카린은 1900년대 초 당뇨병 환자나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획기적인 대체 감미료로 주목받았습니다. 특히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설탕 부족 현상이 벌어지면서 사카린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 191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사카린이 ‘식품 첨가물’로 규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당뇨 환자들의 강력한 반발로 금지 조치는 철회되었습니다.



⚠️ 2) 20세기 중반: 발암 논란

1970년대 캐나다와 미국에서 시행된 동물 실험 결과, 쥐에게 고용량 사카린을 투여한 결과 방광암이 유발되었다는 연구가 발표됩니다. 이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일부 국가에서는 사카린 사용이 일시적으로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1977년 미국 FDA는 사카린에 경고 라벨 부착 의무화

WHO도 일시적으로 사카린을 "잠재적 발암물질(Group 2B)"로 분류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 쥐의 방광암 발생 메커니즘이 인간과는 다르다는 점이 밝혀지며, 과학계의 평가는 재검토되기 시작했습니다.



3. 현대 과학이 본 사카린

국제기구의 재평가

1990년대 들어 **국제암연구소(IARC)**와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FDA, 유럽식품안전청(EFSA) 등은 사카린의 인체 발암 가능성을 철회하기 시작합니다.

2000년 미국 FDA는 사카린에 부착되던 경고 라벨 의무를 철회

2010년 IARC는 사카린을 발암 물질에서 제외 (Group 3)


즉, 일반적인 섭취 수준에서 사카린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것입니다.



4. 사카린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 1) 장점

체중 조절에 도움: 무칼로리 감미료로서, 설탕 대체 시 칼로리 섭취 감소 가능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 혈당을 올리지 않음

치아 건강 보호: 충치 유발하지 않음


> 사카린은 체내에서 대사 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혈당 및 인슐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2) 우려 및 부작용

📌 (1)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인공 감미료(사카린 포함)가 장내 미생물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2014년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연구: 쥐에게 사카린을 고용량 투여한 결과 장내 미생물 변화 및 내당능 저하가 관찰됨.

그러나 이 결과는 고용량, 장기 투여에 의존하며, 인간 대상 대규모 임상에서는 뚜렷한 부작용 없음이 반복 확인됨.


📌 (2) 알레르기 및 금속성 뒷맛

일부 민감한 사람들은 두드러기나 두통, 구강 내 자극을 경험할 수 있음

사카린 특유의 금속성 뒷맛은 호불호가 갈림


📌 (3) 임산부와 어린이

안전성이 확보되었지만, 임산부와 유아에게는 과도한 섭취를 권장하지 않음

ADI(하루 섭취 허용량): 5 mg/kg (체중당 기준, WHO 기준)




5. 사카린 vs 다른 인공 감미료 비교





6. 사용 현황 및 활용 제품

🍭 1) 사용 분야

다이어트 음료 및 제로 칼로리 탄산수

무설탕 껌, 캔디, 젤리

제과제빵용 혼합 감미료

식품산업 외에도 치약, 구강청결제, 의약품 등에도 사용됨


🇰🇷 2) 국내 기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카린은 식품첨가물로 허용, 용도별로 사용량 기준 있음

식품별로 사카린 허용량이 다르며, 과일 통조림, 청량음료, 조미식품 등에 사용 가능




7. 사카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오해 진실



8. 결론 :  사카린은 안전한가?

✔️ 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할 때 사카린은 일반적인 식이 조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감미료입니다.
✔️ 그러나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지속적 고용량 섭취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카린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면 건강에 악영향 없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나 체중 관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대체 감미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 참고 자료

WHO & FAO Joint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국제암연구소(IARC)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한국 식약처 식품첨가물 공전